'컴'에 해당되는 글 307건

  1. 2018.01.25 high Sierra 이미지 usb만들기
  2. 2017.07.26 배포
  3. 2017.06.08 requirements usage
  4. 2017.06.03 django settings 분리
  5. 2017.05.10
  6. 2017.05.10 알고리즘 단계
  7. 2017.05.08 디컴파일 1
  8. 2017.04.30 일기
  9. 2017.04.28 regedit 수정 레지스트 bat 배치파일
  10. 2017.04.21 치트엔진 튜토리얼 9번

Last login: Thu Jan 25 20:42:06 on console

$ sudo /Applications/Install\ macOS\ High\ Sierra.app/Contents/Resources/createinstallmedia --volume /Volumes/Untitled --applicationpath /Applications/Install\ macOS\ High\ Sierra.app 

Password:

Ready to start.

To continue we need to erase the volume at /Volumes/Untitled.

If you wish to continue type (Y) then press return: y

Erasing Disk: 0%... 10%... 20%... 30%...100%...

Copying installer files to disk...

Copy complete.

Making disk bootable...

Copying boot files...

Copy complete.

Done.



'OS X 설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 ssh 입력주소 줄이기  (0) 2019.07.21
맥 초기 설치  (1) 2018.09.07
open finder  (0) 2017.01.29
mac 화면분할 https://www.spectacleapp.com/  (0) 2017.01.28
automator open terminal  (0) 2017.01.02
Posted by wakira
,

배포

자료실 2017. 7. 26. 10:43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월 등교하기  (0) 2018.11.01
iis 8 ftp ssl 인증서 오류  (0) 2018.03.13
  (0) 2017.05.10
일기  (0) 2017.04.30
NFC 표준, 프로토콜  (0) 2017.04.02
Posted by wakira
,

requirements usage

웹/django 2017. 6. 8. 03:09

현재 파이프 저장

pip freeze > requirements.txt


설치

sudo pip install -r requirements.txt



>는 덮어쓰기

echo "-r base.txt" > development.txt

>>는 아래줄 추가

' > django' 카테고리의 다른 글

django에서 i18n 다국어  (0) 2018.04.20
https://github.com/mirumee/saleor  (0) 2018.04.09
django settings 분리  (0) 2017.06.03
장고 헬로우월드  (0) 2015.10.11
장고 부트스트랩 장고에 쓰기.  (0) 2015.10.11
Posted by wakira
,

Django는 settings.py라는 모듈을 제공하여 환경설정을 하도록 한다. $ django-admin startproject [myproject] 으로 Django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myproject]/[myproject]/settings.py 파일이 생성되는데 대부분의 환경설정이 기본값으로 적용되어있다. 그 중에 DEBUG = TRUE로 기본 설정 돼 있는 변수가 있는데 개발 환경에서는 TRUE로, 실제 운영 환경에서는 FALSE로 수정하여 사용하곤 한다. 하나의 settings.py 파일만을 사용하지 않고 공통되는 객체 하나를 상속받아서 개발 환경, 테스트 환경, 운영 환경 등에 따라서 서로 다른 세팅 파일로 나누고 버전 컨트롤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방법이 있다.


환경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이유

Django 프로젝트의 환경을 분리하여 사용하면 if DEBUG 또는 if not DEBUG 등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고 반복되는 코드(설정)들을 없앨 수 있다.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local 환경을 버전 컨트롤로 관리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팀원들 간에 공유 할 수도 있다.


settings.py 파일 분리하기

_myproject_/
    _myproject_/
        settings/
            __init__.py
            base.py
            development.py
            production.py

settings.py 대신에 위와 같은 구조로 파일을 생성한다. 공통으로 사용되는 환경들을 base.py 에 관리할 것이므로 우선 settings.py 의 내용을 그대로 base.py 에 복사한다. 이제 각각의 환경마다 다르게 사용될 설정들은 base.py 에서 제거하고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작성한다. base.py 를 import 해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설정들을 상속받는다.

development.py

from .base import *

DEBUG = True

DATABASES = {
    'default': {
        'ENGINE': 'django.db.backends.sqlite3',
        'NAME': os.path.join(BASE_DIR, 'db.sqlite3'),
    }
}

production.py

from .base import *

DEBUG = False

ALLOWED_HOSTS = ['mywebsite.com']

DATABASES = {
    'default': {
        'ENGINE': 'django.db.backends.mysql',
        'NAME': 'name',
        'USER': 'user',
        'PASSWORD': 'password'
    }
}

Django project을 생성할 때 settings.py 에 기본으로 설정되는 BASE_DIR이라는 값이 있다. 프로젝트의 root path를 저장해두는 것으로 DB파일이 저장되는 위치를 지정하는 등의 파일 경로를 지정할 때 사용된다. root path를 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현재 실행되는 파일의 절대경로를 기준으로 root 폴더까지의 디렉토리의 수 만큼 os.path.dirname()을 사용하여 구하는 방식인데, 우리가 사용하는 설정 파일은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settings.py 의 위치보다 한 단계 더 하위에 존재하므로 아래와 같이 os.path.dirname()을 한 번 더 입력해서 수정해줄 필요가 있다.

base.py

import os

BASE_DIR = os.path.dirname(os.path.dirname(os.path.dirname(os.path.abspath(__file__))))

[...]


settings 적용

이렇게 각각 나눠진 development.py 와 production.py 의 설정을 이용하여 shell과 runserver 명령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settings 옵션을 이용하면 된다.

  • $ python manage.py shell --settings=myproject.settings.development
  • $ python manage.py runserver --settings=myproject.settings.development

하지만 매번 --settings 옵션을 입력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DJANGO_SETTINGS_MODULE 환경변수를 원하는 환경으로 설정하면 --settings 옵션 없이도 이용할 수 있다.

$ export DJANGO_SETTINGS_MODULE=myproject.settings.development
$ python manage.py runserver

이것 또한 shell을 실행시킬 때마다 환경변수를 설정해줘야 하므로 번거롭다. python 가상환경을 사용하고 있다면 환경을 실행할 때 DJANGO_SETTINGS_MODULE 환경변수를 등록하도록 설정해주면 편하다. 여기서는 autoenv를 사용할 때, .env 파일을 사용하여 설정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참고 : python 가상 환경 구축하기)

.env

pyenv activate myproject-env
DJANGO_SETTINGS_MODULE=myproject.settings.development

shell 에서 .env 파일이 있는 경로로 이동하면 위의 내용을 알아서 실행하는데, 우선 myproject-env라는 가상환경을 실행하고 DJANGO_SETTINGS_MODULE 환경변수를 등록한다.


pytest-django pytest.ini

pytest.ini 파일을 이용하여 pytest-django를 사용하고 있다면 DJANGO_SETTINGS_MODULE를 아래와 같이 수정해줘야 된다. (참고 : Django에서 pytest 사용하기)

pytest.ini

[pytest]
DJANGO_SETTINGS_MODULE=myproject.settings.development
python_files = tests.py test_*.py *_tests.py *_test.py


django 환경에 맞게 requirements.txt 분리

어떤 패키지는 운영 시에는 사용되지 않지만 개발의 편의를 위해서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requirements.txt와 requirements-dev.txt 등과 같이 패키지 리스트를 분리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Django 환경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우 requirements.txt 파일들도 각각의 환경에 맞게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위에서 settings/ 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requirements/을 아래와 같이 분리한다.

requirements/
    base.txt
    development.txt
    production.txt

마찬가지로 공통으로 사용되는 의존성은 base.txt 에 넣고 따로 사용되는 의존성은 분리하여 각각의 파일에 넣는다.

base.txt

Django==1.10.5
[...]

development.txt

-r base.txt
pytest==3.0.5
[...]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게 되면, 장비에 따라 필요한 라이브러리, 데이터베이스 정보 등 설정 정보를 다르게 가져가야 한다. django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1개의 settings.py가 있는데, 설정 정보를 따로 가져가기 위해서는 파일을 분리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기존의 패키지 구조

myproject/
    myproject/
        settings.py

에서

myproject/
    myproject/
        settings/
            __init__.py
            base.py
            local.py
            development.py
            production.py

로 분리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일단 모든 환경에 필요한 공통된 설정 정보를 저장할 base.py에 기존 settings.py의 정보를 모두 복사한다.

다음 local.pydevelopment.pyproduction.py에 다음과 같이 base.py를 import 한다.

from myproject.settings.base import *

이제 환경마다 다르게 가져갈 설정 정보들을 분리해보자.

# local.py
from myproject.settings.base import *

# local 환경이니까 디버그 모드를 켜야지!
DEBUG = true

# local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입력한다.
DATABASES = {
    'default': {
        'ENGINE': 'django.db.backends.postgresql_psycopg2',
        'NAME': 'LOCAL_DB_NAME',
        'USER': 'LOCAL_DB_USER',
        'PASSWORD': 'LOCAL_DB_PASSWORD',
        'HOST': 'LOCAL_DB_HOST',
        'PORT': 'LOCAL_DB_PORT',
    }
}

위와 같이 분리할 정보를 base.py에서 지우고 환경에 맞는 파일에 넣어주면 된다.



이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될 때, 변경된 설정 파일을 읽도록 설정해주어야 한다.

프로젝트의 wsgi.py 파일을 열면 기본 설정 파일을 지정하는 코드가 있다.

os.environ.setdefault("DJANGO_SETTINGS_MODULE", "myproject.settings")

본인 기본 설정을 local로 지정할 것이다.

os.environ.setdefault("DJANGO_SETTINGS_MODULE", "myproject.settings.local")

이것은 어디까지나 default 설정을 지정하는 것 뿐이고,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때 다른 설정을 주입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두 가지 방법이 있다.

  1. 위에서 봤던 DJANGO_SETTINGS_MODULE 을 .bashrc.bash_profile.zshrc에 환경 변수로 등록하는 방법

    export DJANGO_SETTINGS_MODULE=myproject.settings.local
    
  2. 서버를 띄울 때 설정을 주입하는 방법

    python manage.py runserver --settings=myproject.settings.local
    

이렇게 하면 원하는 설정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다!

끝!



----------------------------------------------------------------

--settings=Coin.settings.development 추가하기


' > django'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s://github.com/mirumee/saleor  (0) 2018.04.09
requirements usage  (0) 2017.06.08
장고 헬로우월드  (0) 2015.10.11
장고 부트스트랩 장고에 쓰기.  (0) 2015.10.11
python for visual studio  (0) 2014.08.20
Posted by wakira
,

2017. 5. 10. 20:07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알고리즘 단계

알고리즘 2017. 5. 10. 12:39
익스퍼트
프로
어드밴스
인터미디움


익스퍼트 공부 ㄱㄱ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제3  (0) 2014.09.02
문제2  (0) 2014.09.02
문제1  (0) 2014.09.02
2014년 문제  (0) 2014.06.06
2013년 문제  (0) 2014.06.06
Posted by wakira
,

디컴파일

Android 개발 2017. 5. 8. 20:28

7zip으로 푼다


https://bitbucket.org/JesusFreke/smali/downloads/ 다운로드


디컴파일

java -jar baksmali-2.2.0.jar d classes.dex


아웃폴더를 고치고~


컴파일

java -jar smali-2.2.0.jar assemble out


7집으로 묶고, motizen-sign download로 서명

Posted by wakira
,

일기

자료실 2017. 4. 30. 23:34

17.03.31

2393

817

283

59

53

-------------------------------------------------------------

17.04.17

3105

1471

1066

60

53

--------------------------------------------------------------

17.04.30 

3552 92 150

1956 41 100

1601 44 0

64

54

--------------------------------------------------------------

17.05.09 09:54

3947 101 150

2322 000 162

1973 053 0

64

54

--------------------------------------------------------------

17.05.31 16:38

4976 123 150

3218 022 162

2975 075 000

64

55

1762 026 090

0709 011 010

--------------------------------------------------------------

17.06.30 23:00

6370 154 150

4569 053 162

4355 106 000

64

55

2795 056 090

1902 041 010

--------------------------------------------------------------

17.07.31 20:34

7651 183 150

5787 082 162

5540 133 000

64

56

3878 022 150

3041 068 010


7.04 콩기부

8.14 콩기부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포  (0) 2017.07.26
  (0) 2017.05.10
NFC 표준, 프로토콜  (0) 2017.04.02
졸업요건  (0) 2017.03.29
핸드폰 모델  (0) 2017.02.14
Posted by wakira
,

cmd란게 명령 프롬프트라는거 아시죠? ㅎㅎ


도스명령어가 먹히는곳이에요 윈도우 - 실행 - cmd - 엔터 하시면 나오는거요


cmd창에서 명령을


reg add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Main" /v "Start Page" /t REG_SZ /d "www.seryu.woobi.co.kr" /f


ㄴ 이런식으로 cmd창에서 입력하면 직접 레지스트리값 수정 가능합니다


bat파일로 만들어서 레지스트리 몇십개 적용시킬때 유용하게 쓸수있습니다.


예시로든건 IE의 시작페이지를 수정한건데요


reg add "키값" /v "이름" /t 종류 /d "데이터"


입니다


키값은 수정하고자하는 데이터가있는 주소고요..


이름은 데이터의 이름


종류는 데이터의 종류.. 즉 REG_SZ 이나 REG_DWORD 같은거요


데이터는 말그대로 데이터고요 ㅎㅎ


reg add /?


하면 도움말도 나오니까 편합니다


상대방에게 텔넷으로 들어가서 상대방컴 수정해줄수도 잇으니 


유용합니다



배치파일로 만든다 하면


메모장을 열어서


@echo off

reg add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Main" /v "Start Page" /t REG_SZ /d "www.seryu.woobi.co.kr" /f


ㄴ 이걸 입력하고


다른이름으로 저장


파일명을 startpage.bat


으로 저장하고


저장한걸 실행하면


바로 적용 됩니다..



이상입니다 ^^*


@echo off

reg add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Main" /v "FullScreen" /t REG_SZ /d "yes" /f


Posted by wakira
,

31337157


[ENABLE]

//code from here to '[DISABLE]' will be used to enable the cheat

alloc(newmem,2048)

label(returnhere)

label(originalcode)

label(exit)


newmem: //this is allocated memory, you have read,write,execute access

//place your code here

cmp [ebx+10],1

jne originalcode

fadd dword ptr [ebx+04]

fstp dword ptr [ebp-30]

jmp exit


originalcode:

fsubr dword ptr [ebx+04]

fstp dword ptr [ebp-30]


exit:

jmp returnhere


"Tutorial-i386.exe"+2650C:

jmp newmem

nop

returnhere:



 

 

[DISABLE]

//code from here till the end of the code will be used to disable the cheat

dealloc(newmem)

"Tutorial-i386.exe"+2650C:

fsubr dword ptr [ebx+04]

fstp dword ptr [ebp-30]

//Alt: db D8 6B 04 D9 5D D0












[ENABLE]

//code from here to '[DISABLE]' will be used to enable the cheat

alloc(newmem,2048,"Tutorial-x86_64.exe"+2E0A1) 

label(returnhere)

label(originalcode)

label(exit)


newmem: //this is allocated memory, you have read,write,execute access

//place your code here

cmp [rbx+14],2

je originalcode

addss xmm1,xmm0

movss xmm0,[Tutorial-x86_64.exe+202F70]

jmp exit


originalcode:

subss xmm1,xmm0

movss xmm0,[Tutorial-x86_64.exe+202F70]


exit:

jmp returnhere


"Tutorial-x86_64.exe"+2E0A1:

jmp newmem

nop

nop

nop

nop

nop

nop

nop

returnhere:



 

 

[DISABLE]

//code from here till the end of the code will be used to disable the cheat

dealloc(newmem)

"Tutorial-x86_64.exe"+2E0A1:

subss xmm1,xmm0

movss xmm0,[Tutorial-x86_64.exe+202F70]

//Alt: db F3 0F 5C C8 F3 0F 10 05 C3 4E 1D 00

'Cheat Eng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트엔진 만들기 (6.2 기반) -4-  (2) 2013.05.26
치트엔진 만들기 (6.2 기반) -3-  (0) 2013.05.26
치트엔진 만들기 (6.2 기반) -2-  (0) 2013.05.26
치트엔진 만들기 (6.2 기반) -1-  (1) 2013.05.26
우회 치트엔진!  (2) 2013.05.26
Posted by wakir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