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app.vssps.visualstudio.com/profile/view?mkt=ko


생성





삭제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12.0\Common7\IDE>

TfsDeleteProject /collection:https://wakira.visualstudio.com/DefaultCollection test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12.0\Common7\IDE\TFSDeleteProject.exe" /collection:https://wakira.visualstudio.com/DefaultCollection test





가서 내아디 jujinesy@gmail.com

Posted by wakira
,

Color' 형식 또는 네임스페이스 이름을 찾을 수 없습니다. using 지시문 또는 어셈블리 참조가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참조 추가하면된다 


  

Posted by wakira
,

visual studio 6.0을 깔면 잘되는데 안깔면 안된다.



COMDLG32.OCX


exe독립실행하기.exe


Posted by wakira
,


setup.exe


[자작] VB Linker Helper v2.02+


개발자 wrote:


완벽(完璧)한 링커 도우미를 만들려고 몇 번이고 테스트해보았습니다.


혹시 버그나 개선 사항, 건의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환영이니 덧글 달아주세요. 감사합니다.


다음과 같은 점이 개선 및 추가되었습니다.:


[+] 링크 실패시 링커 오류 출력 가능.


[+] Windows® Vista 시스템 이상의 PC에서 관리자 권한을 요구하는 기능 추가.


[+] 설정 관리 기능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 창 우측 하단에 설정 관리 단추인 > 단추 추가.


[+] 설정 삭제 기능 추가.


[!] CreateProcess에 잘못된 인수(非호환의 우려가 있었던 부분)를 전달하던 문제 고침.


[!] 언팩 방지 부분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 문제 개선.


[!] EXE 뿐 아니라 ActiveX DLL, OCX 등에서도 문제없이 Language DLL(vb6ko.dll) 패치가 되도록 수정1).


[!] 가끔 UPX Output이 출력되지 않던 문제 해결.


※ VB Linker Helper의 특징:


- VB6KO.DLL 요구하지 않게 패치 가능.


- 일반 DLL 제작 가능.


- 콘솔 응용 프로그램 제작 가능.


- UPX/FSG 패커 내장 및 UPX 언팩 방지 기능.


- 일반 링커가 수행하는 왠만한 기능 가능 (ImageBase 변경, MAP 파일 생성 등)


- 링커 설정을 저장할 수 있음.


- 비스타 이상의 PC에서 관리자 권한을 요구할 수 있음. (※ 기본 사항이 아니므로, 이 기능은 기본적으로 선택 해제되어 있음.)


- 그 외 다수.


※ 설치 방법:


첨부된 Setup.exe(알집 SFX) 파일을 실행 후 압축을 푸시면 됩니다.


※ 제작: 수학쟁이 (ljm92201@paran.com)


1) 기존 버전에서는 EXE의 진입점(entry point: 프로그램이 로드되었을 때 제일 처음 실행되는 코드)으로부터 VB6 헤더(시그너쳐 "VB5!")의 위치를 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ActiveX DLL과 ActiveX OCX 등에서는 이 방법으로 VB6 헤더의 위치를 찾을 수 없습니다. (엄연한 DLL 이기 때문에 진입점 코드가 조금 복잡하게 바뀌어, 찾을 수 없습니다) 이런 까닭에, 진입점 코드가 일반적인 EXE랑은 다른 경우에는 다른 방법으로 찾게 됩니다. 참고로 vb6ko.dll 체크는 DLL 및 OCX 에서도 유효하므로, 여전히 이 옵션은 ActiveX DLL/OCX 개발 시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wakira
,
No EditorOptionDefinition export found for the given option name:
Tabs/ConvertTabsToSpaces
Parameter name: optionID



Follow the steps:

  1. Close Visual Studio
  2. Open the folder: %LocalAppData%\Microsoft\VisualStudio\12.0\

  3. Rename the ComponentModelCache folder

  4. Restart Visual Studio.


'Windows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vb exe독립실행하기  (0) 2015.06.21
수학쟁이님의 링커 Ver 2.02  (0) 2015.06.21
visual studio 환경변수 설정  (0) 2015.03.30
visual studio 2013 리팩토링 기능추가  (0) 2015.03.11
정적링크  (0) 2014.11.25
Posted by wakira
,

PATH=$(SolutionDir)\FAManagement\res\Import\dll;%PATH%




Posted by wakira
,

굿


VCRefactoringPkg.vsix


단축키

ctrl + r ,ctrl + r



'Windows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 EditorOptionDefinition export found for the given option name:  (0) 2015.06.19
visual studio 환경변수 설정  (0) 2015.03.30
정적링크  (0) 2014.11.25
char, TCHAR 형변환  (0) 2014.11.25
파일숨기기  (0) 2014.11.25
Posted by wakira
,

정적링크

Windows 개발 2014. 11. 25. 01:13

미약하지만 도움이 될까 해서 올립니다.

 

StartFragment

컴파일후 msvcr100.dll 이 필요 없다즉 정적링크다!

 

1. 속성 페이지 -> 구성 속성 -> C/C++ -> 코드 생성 -> 런타임 라이브러리 -> 다중 스레드(/MT) 선택

 

2. 속성 페이지- > 구성 속성 -> 링커 -> 입력 -> 특정 기본 라이브러리 무시 항목을 비우거나

libc;%(IgnoreSpecificDefaultLibraries) 또는 libc로 변경

 

 

3. 컴파일 하고 실행해 보자!!

 

만약특정 기본 라이브러리 무시 항목에 다른 내용 예를 들어 LIBCMT 게 들어 가면 빌드가 오류가 나고

컴파일이 되지 않는다.

 

Tip : 옵션이 /MT 이고 특정 기본 라이브러리 무시 항목에 libc;%(IgnoreSpecificDefaultLibraries) 또는

libc 이거나 아무것도 없을 때 컴파일 오류가 나면 /MTd를 설정하고 다시 컴파일 해본다.

'Windows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udio 환경변수 설정  (0) 2015.03.30
visual studio 2013 리팩토링 기능추가  (0) 2015.03.11
char, TCHAR 형변환  (0) 2014.11.25
파일숨기기  (0) 2014.11.25
유니코드 문자열 함수들  (0) 2014.11.24
Posted by wakira
,

TCHAR -> char

TCHAR tmp[256]=L"한글입니당";
int len = 256; 
char ctemp[256];

// 실제 변환
WideCharToMultiByte(CP_ACP, 0, tmp, len, ctmp, len, NULL, NULL);
printf
("%s" , ctmp);

char -> TCHAR 

char charBuff[]="test";
TCHAR szUniCode[256]={0,};
MultiByteToWideChar(CP_ACP, MB_PRECOMPOSED, charBuff, strlen(charBuff), szUniCode, 256);

'Windows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udio 2013 리팩토링 기능추가  (0) 2015.03.11
정적링크  (0) 2014.11.25
파일숨기기  (0) 2014.11.25
유니코드 문자열 함수들  (0) 2014.11.24
메모장에 유니코드로 저장하기  (0) 2014.11.24
Posted by wakira
,

파일숨기기

Windows 개발 2014. 11. 25. 00:30

SetFileAttributes( m_LPCTSTR lpFileName , DWORD dwFileAttributes );

 

특징 :

 

이함수는 해당파일의 속성을 변경하는건데

 

해당파일을 숨김파일이면 보이게 하거나

 

읽기전용 파일일때 체크를 해제하거나 할 수 있다. ~_~ 음...

 

아 그리고 windwos.h 를 인클루드 하면 사용이 가능하다.

 

 

예제 :

#include<windows.h>

 

SetFileAttributes("c:\\test.txt",FILE_ATTRIBUTE_HIDDEN);  // "c:\test.txt 파일을 숨김파일로 변경한다.


부가설명 :

 

자주쓰는 2번째 인자값을 설명하자면

 

FILE_ATTRIBUTE_HIDDEN     : 숨김파일로

FILE_ATTRIBUTE_NOMAL       일반파일로

FILE_ATTRIBUTE_SYSTEM     : 시스템파일로

FILE_ATTRIBUTE_READONLY : 읽기전용으로

FILE_ATTRIBUTE_ARCHIVE    : 쓰기속성으로

'Windows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적링크  (0) 2014.11.25
char, TCHAR 형변환  (0) 2014.11.25
유니코드 문자열 함수들  (0) 2014.11.24
메모장에 유니코드로 저장하기  (0) 2014.11.24
기본상식  (0) 2014.11.21
Posted by wakira
,